검색
색인
셀룰러 차량·사물 통신, -車輛事物通信, Cellular Vehicle-to-Everything, C-V2X, Cellular V2X
LTE, 5G와 같은 셀룰러 이동통신망을 통해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교통 인프라, 보행자, 네트워크 등과 정보를 서로 주고받는 차량 통신 표준 기술.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 3GPP는 2017년에 LTE 기반의 Cellular V2X(C-V2X)를 3GPP Release 14에서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이후 5G NR 기반의 V2X도 개발되면서, 셀룰러 차량·사물 통신(C-V2X)은 LTE와 5G를 모두 활용하여 차량, 인프라, 보행자,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기술로 발전해가고 있다.
차량이 보행자나 자전거 탑승자 등 개인(pedestrian)이 소지한 이동 단말, 다른 차량(vehicle), 도로 인프라(infrastructure), 네트워크(network) 등과 통신하면서 다른 차량의 정보나 교차로 통제 등의 정보를 교환하여 차량 안전, 자율 주행, 군집 주행 등에 활용하는 것을 차량·사물 통신(V2X)이라 한다.

V2X 통신을 위한 대표적인 표준 기술로 무선 LAN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환경용 무선 접속(WAVE: 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과 셀룰러 이동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셀룰러 차량·사물 통신(C-V2X: Cellular Vehicle-to-Everything)이 있다.

셀룰러 차량·사물 통신(C-V2X)은 3GPP에서 셀룰러 이동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만든 V2X로, 기존 WAVEDSRC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서비스 범위가 넓으며, 고신뢰성과 초저지연 통신을 지원한다.
따라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 간(V2V), 차량과 보행자 간(V2P), 차량과 인프라 간(V2I)에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차량과 차량, 차량과 노변 기지국(RSU: Road Side Unit) 통신은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해 이루어지는 단말 간 직접 통신(D2D)이다. 한편 차량과 기지국 사이, RSU와 기지국 사이는 LTE 이동통신(V2N: Vehicle-to-Network) 기술을 사용하여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 킬로미터 전방의 교통 상황 정보 등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 3GPP 릴리스 14에서 제정된 Cellular V2X(C-V2X) 기술보다 향상된 차량 통신 기술 표준(enhanced V2X)이 릴리스 15에서 개발되었다. 이후 LTE-V2X는 5G NR 기술을 이용한 NR-V2X 기술로 진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