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색인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 Fraud Detect System, FDS
출처 : 최신 ICT 시사상식 2021
금융 거래에서 부정 결제나 사기 등 이상 거래 징후를 사전에 탐지해서 차단하는 보안 시스템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FDS)은 빅데이터 분석 기술 등을 바탕으로 결제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패턴화하고, 평소 정상 패턴과 다른 이상 징후를 발견하면 거래를 중단시킨다.

예를 들어 오후 7시 서울 영등포구 편의점에서 결제가 이뤄진 신용카드로 30분도 채 지나지 않아 미국 뉴욕 등 해외에서 결제 요청이 접수되면 상황을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방식이다. 신용카드가 복제되었거나 카드와 관련한 정보가 유출되었더라도 사전에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주로 은행이나 신용카드사 등 금융사와 모바일 결제 서비스,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기존 보안 체계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전통의 보안 솔루션이 외부 해커의 데이터베이스(DB) 침입이나 계정 접근, 위·변조 차단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FDS)은 다양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이상 거래를 탐지·차단한다는 점에서 더욱 강화된 적극적인 보호 조치로 평가받는다.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FDS)는 정보수집, 분석·탐지, 대응, 모니터링·감사 등 네 가지가 기본 기능이다. 이것은 위치뿐만 아니라 평소 소비 패턴이나 사용자 환경, 서비스 유형, 거래 시간, 대상 등 다양한 요소를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이상 거래 탐지 기준을 마련한다.

금융 거래뿐만 아니라 정부 창업지원 사업에 불법으로 개입하여 부당한 이익을 취하는 불법 브로커를 잡는 수단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그동안 창업 기업의 사업비 집행 현황이 담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패턴을 분석하여 불법 개입 징후를 파악하고 브로커를 걸러낸다는 구상이다.




내외부 위험정보 수집체계 개념도/ 출처=한국인터넷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