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기동과 함께 핵심부(kernel)가
주기억 장치에 올려져 컴퓨터를 작동시키고 운영을 관리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기본 소프트웨어 초기의
OS는
중앙 처리 장치
(CPU),
주기억 장치, 디스크 장치, 각종
입출력 장치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감시하고 제어하며,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CPU 시간,
기억 공간, 입출력 등 하드웨어 자원을 할당하고 배분하는
시스템 관리 기능이 기본이었으나, 현재는 동영상이나 게임에 이르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틸리티 기능들이 추가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보다 편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로 변모하고 있다.
하드 디스크 등
보조 기억 장치를 관리하는
파일 관리,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
우선 순위 등을 관리하는 태스크(task) 관리와 작업(job) 관리, 사용자의 식별, 확인을 위한
보안 관리, 컴퓨터 간의
정보 교환을 관리하는 통신망 관리 등
시스템 관리 기능은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행해진다.
OS는 여러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 공통으로 이용될 수 있는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문서 처리, 표 계산 등
응용 프로그램에서 파일의 판독과 기록, 화면상의
문자 표시, 인쇄 등의 처리를
OS가 맡도록 하면
응용 프로그램을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
OS는 이러한 공통 기능을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API)라는 함수로서 제공한다.
개인용 컴퓨터
(PC)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OS로는 MS사의
MS-DOS, 윈도, IBM사의 OS/2, 애플사의
맥 OS
(Mac
OS) 등이 있으며, 워크스테이션급으로는
AT&T사가 개발한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등이 있다.